신기공소
전주교구
관할본당: 신태인성당
전북 정읍시 태인면 거산신기1길 101
1934년 ‘동구내’에서 살던 천주교인 세 가구가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정착한 것이 시초이다.
이때부터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는 뜻에서 ‘신기(새터)’라는 이름으로 마을이 형성되었다.
그 뒤 동구내의 김종현 형제가 이주하면서
친척들과 교우들이 연락되어 1939년 다섯 가구가 이주해 들어왔다.
한국전쟁 당시 정읍, 순창 등지의 산골마을이 북한군에게 점령당하자 이 마을로 많은 이들이 피난을 왔다.
당시 신자 가구 수만 60가구가 되어 인구 300여 명의 큰 마을을 형성하게 된다.
교우들이 많다 보니 공소회장 집에서 드리는 공소예절이 여간 복잡하고 불편한 게 아니었다.
“우리 힘으로 성당을 짓자.”라는 의견을 모은 것이 신기공소 건립의 시작이다.
설립 당시 봄, 가을 판공성사에는 공소가 비좁아 밖에 서서 미사를 참례할 정도로 교우들이 많았다고 한다.
(전주교구 홈페이지에서 발췌)
전북 정읍시 태인면 거산신기1길 101
공소 부지는 이 마을에 사는 故박상규 형제가 대지 350평을 희사했다.
60가구가 십시일반 건축비를 모으고
마을 주민들이 10분 거리인 동막골의 산에 올라 나무를 베어 손수레로 끌고 왔다.
주민들이 나무를 베어오면
대목수인 故이철호 형제의 지시 하에 2년여의 기간을 걸쳐 1958년 4월 20일 완공하였다.
당시 지붕은 초가였으나 1961년 기와지붕으로 개량하였다.
공소 강당의 상량문에
'천주강생 1958년 4월 20일 상량' 이라고 되어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