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산교구 공소 58

예성공소/마산교구

예성공소 (신앙공동체) 마산교구 2013년 설립 관할본당: 산청성당 경남 산청면 신안면 중천갈전로499번길 173 예성공소는 평신도로서 수도자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모여 사는 성모마리아 방문 관상 봉쇄 수녀회 제3회 회원들로 구성된 신앙공동체이다. 예성 공동체 가족은 초기 신앙공동체 처럼 공동생활을 하며 살고 있고 매일미사, 성체조배, 기도, 묵상, 공동작업을 병행하며 생활한다. 성체조배와 기도 시간을 피해서 오후 12:00~14:00, 16:00~18:00에 방문이 가능하므로 꼭 시간을 지켜야 한답니다. (출처: 마산교구 공소 순례/천주교 마산교구 평신도 협의회) 벽돌건물이 공소이다.

덕산공소-산청/마산교구

산청 덕산공소 마산교구 2011년 11월 27일 설립 관할본당: 산청성당 경남 산청군 시천면 마근담길 36-4 삼장면에 공소 설립 염원이 10여 년이나 지속되어오다 귀촌 교우들이 늘어나면서 덕산공소가 2011년에 설립이 된다 설립 당시에는 교우집을 손질하여 덕산공소가 세워졌고, 지금의 공소건물은 2018년 8월에 신축한 것이다. 순례하는 날 바람이 심하게 불었고, 부는 바람에 송홧가루가 온 산에 엄청나게 날아 오르면서 푸른 산이 누런 산으로 변했다. 공소 뒷산도 송홧가루로 산의 색깔이 변해 있다.

실매공소/마산교구

실매공소 마산교구 1951년 설립 관할본당: 산청성당 경남 산청군 차황면 신차로 2116번길 31-1 마산교구에서 교구내 공소 순례 행사를 하면서 한옥으로 새단장한 실매공소. 실매공소가 설립 되기까지 역사를 보면 1945년 광복이 되자 일본에서 이필용 도미니코, 민경남 수산나 부부와 가족이 고향 차황면 실매리로 귀국하면서 이다. 대대로 유교를 숭상하는 친지들과 어울리지 못하여 마을 외딴 곳에 터전을 잡고 조카들을 집으로 초대하여 선교를 시작하면서 1950년 4월 8일에 함양성당에서 산청군 최초로 7명이 영세하면서 1951년 실매공소가 시작되었다. 교우수가 계속 늘어나1956년 이웃마을 상중리에 상중공소를 분리 설립시키도 하였다 (출처:마산교구송소순례, 천주교 마산교구 평신도 사도직 협의회) ** 아래의 ..

운산(섭자리)공소/마산교구

운산공소 (섭자리공소) 마산교구 1880년경 관할본당: 함양성당 경남 함양군 백전면 운산1길 28-3 운산(섭자리)공소는 전라도 장수군 지역에서 피난 온 교우 박시홍(비오)등이 집단 거주하면서 교우촌이 생겨났다. 또 다른 기록은 1839년 기해박해 때 충청도 연산 살던 김기하 등 5,6세대의 피난 교우들이 이곳 백운산 산록, 백전면과 서하면 일대에 교우촌을 이루고 살았다고 한다.

백운공소/마산교구

백운공소 마산교구 1880년경 설립 관할본당: 함양성당 경남 함양군 백전면 상조길 5-5 1827년 전라도 곡성에서 시작된 박해는 피난 교우들이 서부 경남 백운산, 덕유산으로 숨어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때 피난 교우들 중 일부가 백전면에 머물면서 백운공소를 를 세운다. 이시기에 백전면에 백운공소 외에 운산공소, 서하면에 대운암공소, 터골공소, 안의면에 음전공소, 수동면에 용수막공소 등이 세워진다.

문정공소/마산교구

문정공소 마산교구 1980년 9월 25일 관할본당: 함양성당 경남 함양군 휴천면 문화길 30 1970년대에 부산광역시 해운대에서 유치원을 운영하던 독일인 호프만 수녀가 관상생활을 위해 장소를 물색하던 중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로 오게 된다. 그 후에 독일인 지도신부 아이싱 헬에 의해 설립된 우니오 카리타스 동정녀회 소속 해드빅 수녀가 독일인들의 원조와 독일 신부의 도움으로 1980년 9월 25일에 설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