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교구 공소 119

음섬공소/대전교구

음섬공소대전교구 1929년 설립 ‘음세미‘ 혹은 ’음섬이‘ 라고도 불리는 음섬 지역은바닷물이 들어올 때는3면이 바다로 둘려싸여 섬처럼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음섬 공동체는 충청도 관찰사 박종악의 수기(1791~1792)에 의하면이미 이존창이 내포에 복음을 전할 때부터신평의 엄도인 이곳에 복음이 전해져 신앙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었고병인 대박해 때에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박해가 꿑난 후 피난갔던 신앙인들이 돌아오면서음섬의 ‘피아티’라는 공소가 시작되었는 데이는 ‘피난처’를 일컫는 말이다. 행정 구역상 음섬과 같은 마을에 속해 있던새터의 교세가 점점 증가하면서1915년 이래 바닷가 안쪽인 음섬 공동체가 별도의 집회를 갖게 된 것이 음섬 공소의 기원이 되었다.  1929년 정식으로 공소가 설립되었다.이 ..

산성리공소/대전교구

산성리공소대전교구 설립년:1902년 2016년에 공소 설립 100주년 기념 미사가 공소 강당에서 있었음. 1967년 서산성당 관할에서 당진성당에 편입.1898년에 세워진 염솔공소가 1902년부터 산성공소로 대체됐다고 전해진다1996년 공소 주변에 위치한사성·마중·천의·도산·봉성공소들과 함께 돌마루공소로 통합됐다.(당진시대에서 발췌) 충남 당진시 정미면 산성리 317-1

봉성리공소/대전교구

봉성리공소대전교구 설립년: 1952년 충남 당진시 정미면 봉성리 이 기록으로 보아 초대 공소 회장 선출 전에는1953년까지는 도산리공소로 미사 참례하려 다녔고,이후 이영교,  윤석우,  박영식 교우 가정집에서 공소예절을 한 것으로 보인다.4대 박영식(토마) 공소 회장 집에서 공소 예절을 끝으로공소 건물이 신축되어 신축한 공소 건물에서 공소 예절을 한 것으로 보인다.위의 기록에 보면 박영식(토마) 공소 회장 재임기간1975년~1976년 중에 신축한 것으로 추측이 된다. 1996년 돌마루 공소 봉헌식을 기점으로6개 공소(봉성리, 마중리, 산성리, 도산리, 천의리, 사성리)가돌마루 공소로 통합되고6개 공소 신자들은 돌마루 공소로 미사 참례를 하려 다닌다. 봉성리 공소 사용 했던 건물은 현재 개인의 소유로 되어..

마중리(마새)공소 터/대전교구

마중리(마새)공소 터대전교구 충남 당진시 대호지면 마중리 337번지 마중리에 자리한 자리한 이 공소의 본래 이름은 마새(馬沙)였다.조선시대에 천주교 박해를 피해온 순교자들의 후손들이논농사와 화전을 일구어 정착하면서교우촌을 이루어 신앙공동체가 형성된 곳이다.1884년 41명의 교우들이 있었다는 첫 기록이 있은 이후 성장을 거듭한 이 공동체는 1897년 첫 공소 건물(3월 5일 상량)을 이 자리에 마련하였다.당진과 서산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공소 중 하나로서 지역 복음화에 큰 역할을 하며1950년대 말에는 200여 명의 교우를 헤아릴 정도로 번성하였다.지금은 산업화로 교우들이 지역을 떠나가면서교세가 약해져 공소 건물은 없어지고 터만 남아있고,남아있는 교우들은 현재 돌마루공소로 미사참례를 하고 있다. 공소 터를..

도산리공소(터)/대전교구

도산리공소(터)대전교구 설립년:1947년 도산리공소는 1945년 강 아가다(애칭 인천 할머니, 마중리), 계숙원(마리아), 최종옥, 이이동(벨라도), 김숙자(아가다)의 병자방문,교회서적(교리강령,십이단,교리문답)을 무료로 보급하는 등 헌신적인 선교 활동으로 4명의 일가족을 영세 시키고, 지금의 이길성(베드로)의 사랑방에서 주일 공소예절을 지켰으나 장소가 협소하여 1948년 계숙원(마리아)할머니 댁으로 옮겼고, 이즈음 계원숙(마리아)할머니 아들 박찬경(비오)이 입교하여 영세받으면서 신자수는 6세대 20명이 넘게 되었다.또한 당시 항곡리 공소회장이었던 장동훈(방지거)은 20리길이나되는 이곳을 주일마다 찾아와 경향잡지를 보급하고 교무금 납부에 대한 설명을 하는 등 많은 홍보를 하였다. 1950년 동네 이장을 ..

돌마루공소/대전교구

돌마루공소대전교구 관할본당: 당진 성당 1994년 12월 1일  고산공소를 당진포공소로 개칭1995년 개축 준공1996년 11월 14일  강당 봉헌돌마루공소기 봉헌 되는 날 부터 인근 6곳의 마중리공소, 산성리공소, 도산리공소, 천의리공소, 봉성리공소, 사성리공소들이 통합됨.(당진 성당 카페의 본당 연혁에서 발췌) 2013년 9월에 순례했을 때와는 건물의 모습이 많이 달라져 있었다. 충남 당진시 정미면 충장로 7-66

대치리공소(터)-당진/대전교구

대치리공소(터)대전교구 관할본당: 순성성당 설립일: 1980년 충남 당진시 면천면 대치리 406번지 병인박해 이전부터 대치리의 인근 마을에 교우들이 있었고박해기에 신자들의 피난처가 되었으나 병인박해 때 자취를 감추었다.대추리공소는 1980년 남산공소에서 분리하여 대치리, 운산 팔중리 일부를 관할 구역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1984년 경량철골조 공소건물을 건축하였는데 부지는 김창회 회장이 마련하였고,건축 자재는 당시 솔뫼피정의집 건축 현장 사무실로 사용됐던 자재를 재활용하였다.2010녀 순성성당 관할로 이관되어 관리되다가 2018년 건물을 철거하였다.대치리는 해미국제성지길(6번길)의 경로이며 순교자의 길이다.(대전주보 제268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