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향공소/전주교구 소향공소 전주교구 1920년 설립 관할본당: 고산성당 전북 완주군 고산면 신상대항길 14 가운데 보이는 붉은색 건물은 공소와 무관한 건물이고 왼쪽의 푸른색 지붕이 새로 신축한 공소 건물이며, 오른쪽 기와 지붕이 옛 공소 건물이다. 한옥으로 된 건물을 공소로 사용하였으나 2001년에 옆에다 새로 건물을 건축하여 지금껏 사용하고 있다 미사참레는 관할본당인 고산성당에서 하고 주로 판공성사 때에 공소를 사용하고 있답니다. - 전주교구 공소 2023.04.15
석장공소/전주교구 석장공소 전주교구 1883년 설립 관할본당: 고산성당 위치: 전북 완주군 경천면 석장길 아래 사진은 석장길 마을의 모습이다. 교우촌이 형성되면서 부터 지금까지 공소 건물은 없지만 1883∼84년 두세(Doucet, 1853~1917, 丁加彌, 서울교구 부주교) 신부가 처음으로 판공을 치루었다는 기록이 있다. 기록에 의하면 1884-85년 교우수는 78명으로 당시 석장 공소는 차돌박이(86명),다리실(82명) 다음으로 큰 공소였다. 1990년부터 교우수가 100명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오랜 동안 독립된 공소로 유지되던 석장 공소는 인근의 수청리. 배재. 구제 공소와 더불어 수청리에 있는 강당에 모여 연합 공소로 운영되고 있다. - 전주교구 공소 2023.04.15
미남공소/전주교구 지금도 공소에 모여 저녁기도를 하는 미남공소 전주교구 1887년 설립 관할본당: 고산성당 전북 완주군 화산면 미남길 28 미남공소 현재 미남(彌南)공소는 완주군 화산면 승치리에 있으며 먹방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이 마을 뒷산을 미륵산(彌勒山)이라 하는데, 미륵산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는 데에서 미남이라 불리워지게 되었다. 미내미라고도 불리웠다. 미남공소는 기록상으로 처음 나오는 것은 1887년-88년 보두네 신부가 사목방문을 한 후이다. 당시 신자 수는 29명이었던 것으로 보아 5~6가구 정도가 모여 교우촌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그후 기록에 나오지는 않다가 1909-11년에도 배르몽 신부가 방문했는데, 48명으로 신자 수가 증가했다. 그 후는 자료의 부족으로 확인할 길이 없다. 그런데 1939년 봄,.. - 전주교구 공소 2023.04.15
우월공소/전주교구 우월공소 전주교구 1890년 설립 관할본당: 고산성당 공소 강당 없이 지금까지 130여년의 신앙을 이어오고 있는 곳 지금은 관할본당인 고산성당에서 미사참례를 한답니다. 전북 완주군 화산면 아래 사진은 완주군 화산면 화평리 마을 모습입니다. - 전주교구 공소 2023.04.15
동향공소/전주교구 동향공소 전주교구 1909년 설립 관할본당: 고산성당 전북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 공소 강당 없이 공소로 설립된 곳입니다. 지금은 고산본당에서 미사참례를 하고 있답니다. 아래 마을 모습은 완주군 경천면 가천리 동향입니다. - 전주교구 공소 2023.04.15
운주공소/전주교구 운주공소 전주교구 1980년 설립 관할본당: 고산성당 전북 완주군 운주로 전주광산이 페광 되기 전에는 사람이 많았지만 폐광 이후로 인구가 많이 줄어들면서 동시에 신자도 많이 줄었답니다. 인근에 안심마을이라는 교우촌이 있었고, 사제를 배출하기도 했지만 지금은 도시로 빠져나가고 해서 옛날과 다르답니다. 지금은 약4km 떨어진 수청공소와 고산성당에서 미사참례를 한답니다. 공소 강당은 없습니다. - 전주교구 공소 2023.04.15
넓은바위(광암)공소/전주교구 넓은바위공소(광암공소)전주교구 관할본당: 고산성당 '1866년 병인박해 때에는이 일대(고산)에 넓은바위, 다리실(천호), 차돌박이(백석), 석장리, 되재 등교우촌이 무려 56곳이나 됐다'고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넓은바위 공소는 1860년대에 형성된 교우촌에 있었던 것으로 보여지고그때부터 지금까지 공소 건물 없이도 신앙이 지켜지고 있다. 지금은 주일마다 고산본당에서 미사참례를 한답니다. 주소: 전북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 (도로명: 대아수목로) 아래의 자료는박해시대에 신앙선조들이 숨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거주지 모습이다넓은바위공소 회장의 안내를 받았답니다.바위가 쌓여있는 모습이 집터였음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넓은바위공소 회장님이 젊을 때 어른들로 부터 전해들은 이야기는" 여기 이 산속에 교우들이 모여 살.. - 전주교구 공소 2023.04.15
수청공소/전주교구 교우촌에 세워져서 2023년 현재 135년의 역사를 간직한 수청공소 전주교구 1888년 설립 관할본당: 고산성당 1951년 수청본당이 폐쇄되고 삼례성당 소속 공소가 되었다가 1958년 고산성당 관할 공소로 이관. 전북 완주군 운주면 대둔산로 854-12 수청공소에 대한 첫 기록은 1866년 공주에서 치명한 순교자 김영오의 시신이 이곳 산기슭에 안장되었다는 내용이다. 대부분 순교자의 가족과 친척, 박해받는 신자들이 숨어 들어와 형성된 고산지역 신앙공동체의 시작은 1791년 이후부터였다. 1866년 병인박해 이후로는 이주 교우들이 절정에 달해 1888년 정식으로 수청공소가 설립되었고 1942년 본당으로 승격되었다. 1951년에 다시 공소로 된다. 1927년 경당 축복식 당시 견진성사를 받은 신자가 100여 .. - 전주교구 공소 2023.04.15
백석(차돌빼기)공소-완주군/전주교구 고산 본당과 되재 본당의 전신이 되는 고산 지방 최초의 본당백석공소(차돌빼기공소)전주교구 1883년 설립 관할본당: 고산성당 두쎄 신부가 고산 빼재(現, 운주면 수청리)있다가 고산 먹방이(現, 운주면 구제리)로 부임하여 차돌빼기공소 설립백석공소에서두써신부 거주지가 약 2km 정도 떨어져 있다. 전북 완주군 운주면 구제리고산 성당 백석 공소는 1883년에 설립되었으며,예전에는 차돌배기(차독배기)로도 불리어졌다. 전북 완주군 운주면 원구제길 322 1891년에는 고산지역 본당이 설립되어10월 10일 우도 신부(바오로, Oudot, 오보록 吳保祿, 1865∼1913)가차돌배기(현 백석) 본당 주임으로 발령을 받아 세례를 주는 등 사목활동을 하였다 . 그리고 1893년 4월 22일 우도 신부의 후임으로비에모(바.. - 전주교구 공소 2023.04.14
구제공소/전주교구 구제공소 전주교구 1896년 설립 관할본당: 고산성당 전북 완주군 운주면 구제리(원구제안길) 구제 공소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1896-97년도 비에모(Villemot, 禹一謨) 신부의 사목보고서에 나온다. 당시 신자수는 24명이었다. 구제 공소가 자리하고 있는 일대는 차돌박이. 먹방이. 되재. 수청리. 석장리 등의 교우촌이 산재하고 있어 박해시대부터 교우촌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성지와 사적지에서 일부 발췌) 공소 건물 없이 지금까지 신앙이 이어 내려온 교우촌으로 고산본당에서 미사 참례를 하고 백석(차돌박이)공소에서 미사가 있를 때에는 약 2km 떨어진 백석공소에서 미사 참레를 한답니다. - 전주교구 공소 2023.04.14